나는 개발자다. 개발을 하기로 마음 먹었다.
동시에 pm을 하게 되어 커뮤니케이션에 좀더 공을 들이고 있다.
조금 어렵다.
고민사항은 (뒤에 더 자세히)
- 내가 어디까지 해야되는지 -> 아직 모집은 내가 진행은 각자 할 팀에서 한명이 대표처럼 하고 있다.
- 내 파트에서의 일이 많아 pm을 위임을 해주고 싶다 : 또 내가 모집해놓고 그렇게 하는게 조금 무책임한거 같아서 그런다. -> 기획 팀에서 도와주고 있음
PM 의 역할을 찾아봤다.
1. 문제 해결 역할
- 맨밑에 정리
2. 커뮤니케이션 역할
- 주제를 던져주면 알아서 팀원들의 의견이 나온다고 한다.(어디선가 봤다 아마도 구글링하다가..)
개인적인 고민에 대한 해결방법
1. 룰을 정한다. 의견충돌이 났을때
ex) 누가 결정권자인가(룰을 정하기), 논리를 따르자, 담당 팀이 더 잘할거 같다면 담당 팀에게 위임한다, 데이터 추출 및 데이터를 근거로 한다.
2. 커뮤니케이션을 잘하기 위해
ex) 팀의 목표를 일치시키고 인식, 인지시킨다.
3. 개인적인 감정 해결
ex) 스트레스는 각자 해결하기로 , 개인적 감정을 삭히는 방법을 배우자.
4. 좀더 나은 팀이랑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ex) 열정을 태우고 리더십을 기르기.
5. 예산
ex) 아직 없음, 개인 돈으로 해야 되나 생각중..
6. 데드라인
개인적으로 3,4번이 제일 부족하다. 아직도 감정다루기에 있어 부족함을 느낀다.
외적 (부족한 점들)
1. 왜? 에 집중하기
2. 팀 빌딩에 신경쓰기 (강점, 약점, 활동분야 이해)
3. 업무 프로세스
4. 수행 계획
5. 이슈와 리스크 추적하기
6. 업무 퀄리티 관리
PM 역할 정리
마인드셋
- 고객에 집중
- 예산
- 데드라인
- 내부고객: 조직 안 사람들, 매니저, 멤버, 리소스 관리자, 협업관계의 사람들
- 외부 고객: 계약 상대방, 클라이언트, 공급자, 소비자
- 왜? 에 집중하기
- 팀 빌딩에 신경
- 강점, 약점, 활동분야 이해
- 팀을 정의하고 성공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서 가치 창출
- 신뢰, 존중, 질문을 통해 확인하기
- 기존 업무 방식을 넘어 항상 혁신하기
- 프로젝트 수행관리에 신경쓸것
- 멤버간 관계 형성을 촉진하고 면밀하게 소통하기
- 업무 프로세스 만들기
- 수행 계획
- 타임 라인
- 스케쥴
- 문서 작성 후 팔로업
- 과업 수행 관리 : 정해진 시간 동안, PM, 팀 멤버들이 수행해야 할 어떤 활동
- 예산, 비용관리, 기타요소 관리
- 예산을 모니터링하고 관리
- 이슈와 리스크를 추적한다
- 업무 퀄리티를 관리한다
- 보이지 않는 업무 방해 요소를 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