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ava 실행 및 변수
Program + Java Virtual Machine : 자바 프로그램
자바 컴파일러(javac.exe)
소스파일(.java) -> 컴파일러 역할(javac.exe로 클래스파일로 바꿔줌) -> 클래스파일(.class): 바이트 코드(명령문)로 존재하는 파일
자바 런처 java.exe
자바 가상 머신 구동시키고 프로그램 실행하게 이어주는 역할
클래스 파일을 대상으로 구동을 시작한다.
OS 위에 JVM(java JVM이 OS에 따라 바꿔줄 수 있다.)
ex. Window JVM, Linux JVM 가상머신이 다 다르다.
중괄호를 이용해 클래스와 메소드의 영역을 구분
class 클래스이름{
public static void 메소드(main)(String[] args){
명령할때 끝에 ;
}
}
메모리 공간의 활용을 위해 필요한 변수(Variable)
선언으로 결정하는 것
- 변수용도(자료형)
- 변수이름
- (변수선언시, 메모리공간할당)
'='은 대입의 의미 : 오른쪽 값을 왼쪽으로 대입한다(값을 저장한다고 생각)
초기화 : 대입, 선언 동시에
primitive data type (기본 자료형)
변수의 이름 짓는 규칙
- 대소문자 구분
- 숫자시작 불가
- $과 _이외 특수문자불가
- 키워드는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변수 권장 규칙
- camelCase
- 변수, 메소드의 첫글자 소문자, 클래스의 첫글자 대문자
- 상수의 이름은 대문자, 단어는 _(언더바)로 구분한다.
2-2. 정수/실수의 표현 방식 이해하기
정수는 소수점 포함x
실수는 소수점 포함
문자 ' '
문자열 " "
16진수
int 4byte
long 8byte :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넓어진다.
정수+5의 바이트코드 00000101
0을 1로 1을 0으로 바꾸고 1을 더하면
정수 -5의 바이트코드 11111011
둘의 합은 0(올림수는 버리니까)
2-3. 실수의 표현 방식 이해하기
- 정수(오차X)와 실수(오차O)는 표현방식이 다르다
- 실수는 근사치를 표현할 수 밖에 없고 이를 표현 하는 방법의 기준이 생겼다. IEEE 754
2-4. 자바의 기본 자료형 설명
정수형(사칙연산) int
다 가능하게 하면 컴퓨터 속도의 저하가 일어난다.
보편적 약속 4byte : 기본적으로 int형으로 바꾸는 과정이 생긴다. 그래서 컴파일에러 값의 손실이 일어난다.
Long : 4L
- 범위보단 표현크기(오차)라고 생각하면 된다.
- 표현의 크기가 크면 정밀도가 높아진다.
ex. 오차가 있으면 안되는 분야 예시: 과학적인 계산, 돈
Float : 8f
문자 자료형
- 문자는 char
- '문자'를 2바이트 유니코드로 표현한다.
- 자바컴파일러가 ' ' 를 인식, 하나의 숫자값(아스키코드값)
논리 자료형
- true, false 값을 넘긴다.
기본형 VS 참조형(Reference Type)
-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저장한다.(객체의 주소)
-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String)
- 사용자 정의 자료형(product, employee)
- 4byte 공간을 저장공간으로 할당
3-1. 상수(Constants)
상수 종류
1) 변수에 상수로 변환
2) 리터럴
'Back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Object와 오버라이딩 (0) | 2022.08.04 |
---|---|
[열혈 java 프로그래밍, 윤성우] 강의 3-5강 정리 (0) | 2022.02.28 |
[ 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 Step] Day.01 테스트와 리팩토링의 중요성 (0) | 2022.02.23 |
[Java / Collection] 컬렉션 개념 이해 및 정리(*) (0) | 2022.02.17 |
[Java / 개념이해 ] 자바의 정석 : 자바 언어 특징, JVM, 자바개발환경구축 (0) | 2022.02.15 |